Theme. 변수란?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메모리 공간은 RAM을 의미한다)

 

전체 메모리 공간을 1byte 단위로 나누고, 각각의 저장공간에 0,1,2,3,4.. 처럼 연속된 번호를 붙여준다. 이를 메모리 주소라고 한다.

원래는 메모리에 값을 저장할 때 메모리 주소를 이용해야 하지만, 메모리 주소가 복잡하여 사람이 이용하기 불편하다.

따라서, 특정 메모리 영역에 이름을 붙이고 주소 대신에 이름을 통해 메모리에 값을 저장하고, 읽을 수 있게 하는 것이 변수다.

변수는 하나의 값만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변수에 새로운 값을 저장하면 기존의 값은 지워지고 새로 저장한 값만 남게 된다.

 

Theme. 변수의 선언

메모리에 값을 저장하려면 먼저 변수를 선언해야 한다.

즉, 값(data)를 저장할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변수를 선언하는 것이다.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 변수타입 변수이름;

예) int age; // 정수(int)타입의 변수 age를 선언

그 결과 아래와 같은 age라는 이름의 저장공간이 생기게 된다.

 

Theme. 변수에 값 저장하기

1. 변수에 값 저장하기

int age; //정수(int)타입의 변수 age를 선언

age = 25; //변수 age에 25를 저장

혹은 int age = 25;

이때, '='는 등호가 아니라 '=' 오른쪽 값을 왼쪽 변수에 대입하는 대입연산자이다.

2. 변수의 초기화

변수에 처음으로 값을 저장하는 것을 말한다.

int x = 0; // 변수 x를 선언 후, 0으로 초기화

int y = 5; // 변수 y를 선언 후, 0으로 초기화

혹은 int x = 0, y = 0;

변수의 종류로 클래스 변수, 인스턴스 변수, 지역변수가 있는데, 

클래스변수, 인스턴스 변수는 자동으로 초기화되지만, 지역변수는 그렇지 않으므로

지역 변수는 읽기 전에 반드시 초기화를 해줘야 한다.

 

Theme. 변수의 타입

변수의 타입은 저장할 값의 타입에 의해 결정된다.

저장할 값의 타입과 알치하는 타입으로 변수를 선언해야 한다.

char ch = '가';

double pi = 3.14;

 

데이터의 기본형(기본 타입)

값을 크게 문자, 숫자, 논리형(true/false)으로 나누었을 때, 

문자 - char

숫자 - 정수( byte, short, int, long), 실수(float, double)

논리 - boolean

변수를 선언할 때 이중 적합한 타입을 선택하여 선언한다.

 

 

 

 

'Java > 자바의 정석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a Type(값의 타입)  (0) 2023.01.17
문자와 문자열  (0) 2023.01.16
변수, 상수, 리터럴  (2) 2023.01.04

+ Recent posts